목록프로젝트/미세먼지 IOT환풍기 - 창업동아리(InA) in 2017 (3)
개발자 블로그

2.0 개발계획 Prototype1에서 온*습도 센서를 통해 데이터 수집, 모터의 양방향 구현, 미세먼지 센서를 통해 데이터 수집을 진행. Prototype2에서 상황 별 알고리즘을 작성하고 각 상황에 맞게 환풍기가 회전하는지 점검. Pilot Test에서 30*25*15(단위: cm) (가로*세로*높이)의 아크릴 상자를 통해 가상 실험장을 만들어 모의실험을 실시. 2.1 현재 시스템 As is: Prototype1 온습도 감지 센서(Module1)와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Module2)를 코딩을 통해 각 센서를 모듈화하였다. 온습도 센서는 2초마다 온습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컴퓨터로 변화를 입력받도록 하였다. 또한, 모터는 각 상황 별 조건에 맞는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구..

1.1 추진 배경 지난 2013년 미세먼지가 세계보건기수(WHO)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된 이후, 사람들의 미세먼지의 대한 관심이 증가함. 우리나라 또한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져 실외부터 실내까지 (공장, 가정 등) 환풍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1.2 사업개요 기존의 환풍기는 실내와 실외의 대기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작동되고 있고, 실내 공기만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는 기능은 없음. 따라서 우리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환경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관리해주는 IOT 환풍기를 만들려고 함. 1.3 사업 목표 센서를 통해 감지한 실내,외의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하여 각 조건에 맞는 알고리즘을 통해 환풍기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실내 미세먼지를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유입 시킬..

17년도 대학시절 창의적인 경험을 하고자 Development Aduino라는 이름으로 창업동아리를 만들었습니다. 뜻이 맞는 선후배를 모았고, 함께 아이디어 논의를 통해 당시에 화두였던 미세먼지라는 주제로 이 프로젝트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학교에서는 창업지원센터가 활성화 되어 있어 우리는 아이디어 보고서를 제출하여 창업지원비 300만원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해당 지원비로 우리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아두이노 set와 미세먼지 센서, 온습도 센서 등 실험에 필요한 물품들을 구입하였습니다. 약 1년 간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많은 우여곡절 끝에 시제품 제작에 완성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은 실제 프로젝트 시제품 사진 자료입니다. 아크릴판으로 가상의 실내 모형을 만들었고 그안에 센서를 넣었습니다. 실..